-
지구과학 1 지구 형성 과정카테고리 없음 2019. 3. 8. 21:36
1. 미행성의 충돌
: 크기가 커지고, 질량이 증가하는 단계.
: 핵과 맨틀이 분리되지 않아 밀도가 일정한 >균질한 혼합물<의 상태이다.
표면 온도가 상승한다.
이유
: 1) 미행성들이 충돌함에 따라 충돌열 발생
2) 수증기와 이산화탄소, 즉 온실기체의 양이 많아 온실효과 일어난다.
2. 마그마의 바다 (온도가 가장 높다.)
: 암석들이 녹아 행성 자체가 액체로 되어있는 상태.
참고로 중력은 행성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액체가 구 모양을 유지한다.
3. 핵과 맨틀의 분리 > 층상구조 형성
: 중력에 의해 무거운 물질이 안쪽으로 이동, 지구 내부로 갈수록 밀도가 커진다.
> 미행성 충돌 횟수 감소, 온도 하강
4. 원시 지각의 형성
: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액체로 된 암석이 굳어 원시 지각이 형성된다.
5. 원시 바다 형성
: 대기가 냉각되어 대기에 존재하던 수증기가 액체인 물로 응결, 비로 내려서 원시 바다를 형성한다.
6. 원시 대기의 진화
+) 1~6단계로 진행될수록 크기는 계속 커지고 질량은 계속 증가하게 된다. 미행성의 충돌 단계에서만 미행성이 충돌하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미행성은 충돌하기 때문이다.